분당, 판교 일대는 몇 차례 가본 적 있지만 그래도 오랜만의 방문이었다. 책방은 정자역에서 멀지 않았는데, 신도시에서 으레 보이는 하천을 건너 조금만 가면 책방이다. 황승미 선생님께서 알려주셨는데 이 하천이 탄천이었다. 탄천의 과거 오명은 유명하다. 탄천의 오명이 아니라 서울의 흑역사라고 해야 하나. 지금은 정비되어 천변 산책로는 더 추워지기 전에 걸으러 오라고 손짓하는 겨울 초입의 햇살로 한가득이었다. 한옥 대문을 옮겨와 책방에 보존하려 하신 것인가 싶은 출입문을 열고 들어가니 박윤희 대표님께서 막 마친 모임의 찻잔을 닦고 계셨다. 책방 대표님들은 하나같이 어디선가 뵌 듯한 친근한 얼굴이다. 책을 좀 읽으며 기다리려 했는데 대표님과 이런저런 이야기 나누다 보니 금세 10분 전, 5분 전. 좋아, 좋아. 바로 아래 사진 속 전구의 노란 불빛이 책들과 유난히 잘 어울리던데. 도서 분야별 서가가 아니라 서가를 색채로 정리해 놓으신 감각도 남달라 보였다. 손길을 끌어들이는 책들의 색채. 그런 고민과 노고가 책방 대표님의 왼손 엄지손가락 보호대에 고스란히 남아 있었다.

241123 (7).jpg

241123 (3).jpg

241123 (4).jpg

241123 (1).jpg

241123 (9).jpg

241123 (10).jpg

241123 (12).jpg